목록프로그래밍 (8)
일개미 : 일상과 개발의 미학

지난번 VS Code로 작성한 파일들을 이클립스로 옮기면서 Html 소스는 JSP로 재작성하였는데, 스크립트파일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아 찾아보다 해결했다고 생각했으나,,,,,😞 [230127] 소확오의 하루,,,(feat. 이클립스 JSP & 우당탕탕 입사일기) **소확오 : 소소하고 확실한 오류 (뇌피셜) 감기몸살로 한9일 예정이였던 입사일을 미뤄16일로 첫 출근,,! 회사가면 새로 배운다라는 말은 학계의 정설이였고 아직은 실무가 투입되기 전이라 간단 glow28.tistory.com 처음에는 분명 async 로 잘 해결했다. 그리고 데이터 리소스를 호출하는데에 오류가 생겨 찾는데 한참 걸렸다,,,오류메세지는 똑바로 제대로 읽자,,, 맵퍼 리소스 경로를 리첵했어야하는데 안해서 생긴 오류ㅎ xml너무 어..

살다보면 계획에 없던 예외 상황을 적어도 한번쯤은 마주한 적 있을 것이다. 그럴땐 그 상황을 파악하고 걸맞는 어떤 다른 계획이나 행동을 통해 헤쳐나가거나 빠져나가거나 할 것이다. 프로그래밍도 마찬가지다. 컴퓨터 혹은 시스템에서 설계된 그대로 실행되지 않고 예외의 상태에 빠질 수 있다. 그러나 프로그래밍은 지시한 내용이 없다면 사람과 달리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사고력이 없거나 부족하다. 따라서 개발자는 사전에 프로그래밍에 예외상황에 관한 처리를 알려주고 실행하게 한다. 예외처리를 이야기하면 누군가는 에러와 헷갈리기도 한다. 글쓴이도 한동안 제대로 알지 못해서 활용하지 못한 때가 있었다.🙄 그렇다면 먼저 예외와 에러의 차이는 무엇일까? 예외(Exception) : 개발자가 구현한 로직에서 발생한 실수나 사..

데이터를 받는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동기와 비동기. 오늘은 이 두가지를 프로그래밍 관점에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최대한 이해가 쉽도록 설명해보려 한다 :) 💡 의미, 그리고 개념 동기 (Synchronous) ; 동시의, 동시에 발생하는 비동기 (Asynchronous) ;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 단어의 의미 그대로 직관적으로 보면 이해가 쉽다. 서두에서 데이터를 받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자 했으니, 데이터에 요청에 있어서 그 결과를 받음이 동시에 일어나는지 아닌지의 여부로써 약속한 방식을 말한다. 동기 요청을 하면 그에 따른 응답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관계없이 요청한 자리에서 응답 결과가 주어져야 한다. 클라이언트를 통해 데이터를 서버에게 요청한다면 서버는 그에 따른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기까..

🚩 먼저,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d 의 약자로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인터페이스는 두 애플리케이션 간의 서비스 계약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계약은 요청과 응답을 사용하여 두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통신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API 문서에는 개발자가 이러한 요청과 응답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다. 라고 AWS 공식 문서에 나와있다. 문장만 보면 이해하기 조금 어려울 수 있는데 쉽게 비유하면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혹은 서로 다른 컴퓨터(또는 기기 혹은 시스템 등) 간의 요청-응답 방식에 대한 소통 창구 또는 연결 다리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

자바 버전에 따른 차이점이 궁금해서 검색하다가 다른 분 블로그에 좋은 글이 있어 참조하려고 링크로 스크랩했다. 시간날 때 한번씩 읽어보시길 :) [JAVA] java8 ,java11, java17그리고 JDK와 SE Java를 처음 공부할 때 언어도 생소하고, 언어를 작성하고 컴파일을 도와주는 도구도 생소하기에 가장 최... blog.naver.com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란 뼈대나 기반 구조를 뜻한다. 제어의 역전(IoC) 개념이 적용된 대표적인 기술이며, 소프트웨어에서의 프레임워크는 '소프트웨어의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호 협력하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집합' 이라 할 수 있다. 완성된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프로그래머가 완성시키는 작업을 해야한다. 라이브러리는 단순 활용가능한 도구들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즉, 개발자가 만든 클래스에서 호출하여 사용, 클래스들의 나열로 필요한 클래스를 불러서 사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라이브러리는 특정하게 정의된 클래스를 호출하여 사용한다는 것은 쉽게 이해가 가지만, 프레임워크는 '제어의 역전(IoC)'이라는 개념을 모르고 있다면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순전히 뼈대나 기반 구조라고 추상적으로..

모든 데이터를 오브젝트(object;물체)로 취급하여 프로그래밍 하는 방법으로, 처리 요구를 받은 객체가 자기 자신의 안에 있는 내용을 가지고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 오브젝트에는 클래스의 개념이 있어서 상위와 하위의 관계가 있다. 클래스의 구체적인 예가 인스턴스이다. 오브젝트 사이는 메시지의 송신으로 상호 통신한다. 가장 특징적인 것은 각 클래스에 그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식이 있다는 것이다. 어떤 인스턴스에 메시지가 도래하면 그 상위 클래스가 그것을 처리한다. 절차형 프로그래밍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객체라는 작은 단위로서 모든 처리를 기술하는 프로그래밍 방법으로서, 모든 처리는 객체에 대한 요구의 형태로 표현되며, 요구를 받은 객체는 자기 자신 내에 기술되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