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pring (14)
일개미 : 일상과 개발의 미학

사내 솔루션 성격상 발주처가 특정되어있다보니 정부프레임워크 마이그레이션이 필요해서 실행환경을 재구성 하고 테스트 하던 중.. 오류 또 ㅎㅇ... 🤦🏻♀️지겹다 지갸워 오류 팝업과 메세지는 위와 같고 같은 오류를 맞이한 분들께 도움이되고자 오랜만에 포스팅을 남기게 되었다. 일단 내 개발환경은 최신화를 당장하지는 말고 기존걸 그대로 활용하는 방안을 해보라는 말씀이 있었기 때문에... 프로젝트 버전을 맞추려다보니 eGov Framework 3.8의 환경에서 구동하였다. (참고로, 현재 기준 4.1 까지 릴리즈 된 상태이고 표준프레임워크 v4.1.0 버전에 대한 안내와 오픈소스SW현황은 아래 링크들을 통해서 살펴보시길) 공지사항 | 표준프레임워크 포털 eGovFrame 처리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십시오. w..

블로그 한번 정리한답시고 던져놨더니 언제 5월이 수습은 왜 끝났어 그다지 궁금하진 않겠지만 근황토크 한번 해보자면...요즘은 개발보다 산출물을 더 많이 보고있다는 이야기,,, 내 경력은 엔지니어일까 PM일까 뭐 대충 이런걸 더 많이 보고 있는 중인데 프로그래머가 할일은 맞다지만 코딩 보다는 문서업무를 더 많이 하는게 주니어 연차 엔지니어로서 과연 주요 업무가 맞는건가 싶기도하고 궁극적으로 PM이 없다..............보통 팀장이 그 역할을 다 하는 것 같은데 도망쳐 그래서 어쩌다보니 전반적인 관리 환경도 만들고 있었고 결국 회사 노션 구매에 불씨가 되버린 셈 어떻게 요즘 시대에 협업툴 없었냐고요 슬랙 사용 권하는데도 힘들었고만,,, 노션 결정 후 사내 환경 재구성 중이실 때 별안간 붙여주신...말..

기존 프로젝트 소스에서 원래 포함되어있던 파일 내에서 같은 로직을 필요한 테이블과 함수명 등만 변경하여 추가했는데 URI를 호출할 수 없던 오류가 났다.......아니 왜요..? No mapping found for HTTP request with URI [{/컨트롤러 내의 URI}] in DispatcherServlet with name 'appServlet' 오류 메세지 자체만 보면 여러 원인이 있다고는 하지만 나의 경우는 기존 파일에서 Controller와 Service 클래스에서 같은 코드를 적절히 네이밍하여 추가했기 때문에 보통 알려진 방법은 솔루션이 될 수 없었다. 게다가 톰캣 문제는 아닌 것이 app 구동은 정상적으로 되어 해당 URI호출시에만 404 에러로 나오기 때문에 톰캣에서 원인을 찾..

라이브러리에 lombok을 쓰려고 설치랑 maven dependency에 추가까지 했지만 왜인지 자동으로 적용이 되지 않았다 어째서? 아무튼 라이브러리가 정말 불가피하게 필요할 때 JAR파일을 별도로 가지고 있다면 나름의 유용한(?) 방법 언급했다시피 JAR파일 한정에 관한 포스팅이라 드물겠지만 다른 형식의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면 안녕히가세요 우선 파일 익스플로러나 내비게이터를 통해 해당하는 프로젝트에서 우클릭 하거나 상단 project 메뉴를 통해 properties 를 클릭하면 창이 하나 뜬다. 왼쪽에 많은 메뉴들이 있는데 다크테마에 저 글씨색 적용하는 항목을 못찾아서 잘 안보이지만 (지금은 이미 추가해놔서 lombok이 이미 적용된 상태임을 참고) Java Build Path 에 들어가보면 5개의 ..

감기몸살로 한9일 예정이였던 입사일을 미뤄16일로 첫 출근,,,회사가면 어차피 새로 배워 라는 말 학계의 정설 아직은 실무가 투입 전이라 간단한 과제만 하고 있는 중에 첫 주차에 VS Code를 사용해서 만든 뷰+프론트단 소스를 Eclipse 로 옮기고 몇가지 추가 미션(?)을 더 받았다 별안간 말하는 감자가 되어버린 나 ,,, 포스팅 겸 아주 작디작은 오류에 대해서 기록해보기로 함 *소스코드 1,2 번째 줄은 분명 인코딩 설정을 다 끝냈고 분명 7번째 줄이 기존에 넣어놓은 코드였는데 왜인지 계속 글자가 깨져서 넣었더니 되었다. 이유를 아시는 분,,알려주세요 그리고 VS Code에서는 동일 폴더 내라면 ~~.css ~~.js 로만 해놓으면 되었는데 이클립스는 상위 경로 어느정도 잡아줘야했다는 거...? ..

🎟️ JWT 란? JSON Web Token의 약자로 JSON 형식의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직렬화한 것이며, 토큰 내부에는 위변조 방지를 위해 개인키를 통한 전자서명도 들어있다. 서버 - 클라이언트 간에 정보를 주고 받을 때 HTTP 요청 Header에 JSON 형식의 토큰을 실어 인증 및 식별하는 방식이다. 이 때 사용되는 JSON 데이터는 Base64 URL-safe Encode 를 통해 인코딩한다. JWT는 HMAC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비밀키' 또는 RSA를 이용한 '공개키', '개인키' 를 쌍으로 서명할 수 있다. 전자서명에는 비대칭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므로 암호화를 위한 키와 복호화를 위한 키가 다르다. 암호화(전자서명)에는 개인키를, 복호화(검증)에는 공개키를 사용한다. 💡 여기서 잠깐, ..

3개월이 훅 지나간 수료후기와 함께 이제 본격적으로 취업걱정을 해야할 때가 왔다.. 그동안 체력관리도 너무 못해서 조금만 쉬고 다시 바로 놓쳤던 공부를 하지않을까 싶다 만들지 못해 아쉬운 기능들과 함께 나름대로는 성공적(?)이였던 파이널..! ㅠㅠ 마지막까지 좋았었던 팀분위기에 너무 감사했고 다들 많이 고생했었다,,, 개인적으로는 과연 나는 팀리더로서 역할을 잘 해냈고 도움이 되는 팀원이였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별 탈(?)없이 함께 마무리 했던것에 다행이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럼 이제 그만 프로젝트를 다시 훑어보겠당 기획 단계시, 여러 좋은 컨텐츠와 컨셉이 나왔지만 최종적으로 '제로웨이스트'라는 주제로 서비스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아마 이전 게시글에서도 잠깐 언급되었을 것이다. 최..